OpenTTD 매뉴얼/선로와 승강장의 구조



OpenTTD 로고 OpenTTD 매뉴얼
시작하기 전에 시작하기 기반시설 & 튜토리얼 철도 기타 일반 철도 상식
OpenTTD 소개
설치하는 법
업데이트 하는 법
JGR 패치 팩
인터페이스
기후 소개
산업시설 연관 관계
멀티플레이
도시
지형 편집
NewGRF (모드)
도로 & 버스/트럭
전차
철도
선박
항공
신호기
신호기 (고급)
단선 철도
복선 철도
역 건설 예제
교차로 건설 예제
화물 분배
시간표와 배차 일정
단축키
높이맵
재앙
콘솔 사용법
게임 물리
치트
기본 차량 DB
경쟁사·인공지능
JGRPP 기능
선로와 승강장의 구조
선로 용량


1. 선로와 승강장의 구조
1.1. 범례
2. 선로 구조의 종류
2.1. 단선 : 레일코드
2.2. 복선 : 레일코드 또는 레일코드
2.3. 단선 병렬 : 레일코드
2.4. 3선 : 레일코드 또는 레일코드
2.5. 복복선
2.5.1. 선로별 복복선 : 레일코드
2.5.2. 방향별 복복선 : 레일코드
2.6. n복선 : 레일코드
3. 실제 현실에서 선로와 승강장의 형태
3.1. 기본 형태
3.1.1. 단선 승강장
3.1.2. 상대식 승강장
3.1.3. 섬식 승강장
3.1.4. 두단식 승강장
3.2. 응용된 형태
3.2.1. 쌍섬식 승강장
3.2.2. 쌍상대식 승강장
3.2.3. 2면 3선식 승강장
3.2.4. 2면 4선 상대식 승강장
3.2.5. 1상대 1섬식 승강장
3.2.6. 섬식+1 승강장
3.2.7. 3면 2선식 승강장
3.3. 그 외의 형태
3.3.1. 광운대역
3.3.2. 신도림역
3.3.3. 노량진역
3.3.4. 구로역


1 선로와 승강장의 구조

이 매뉴얼은 OpenTTD를 플레이하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필요한 철도 지식을 서술한 페이지입니다.
아래 범례를 이용해서 설명하고 있으므로 범례를 잘 숙지하고 매뉴얼을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1.1 범례


2 선로 구조의 종류

2.1 단선 : 레일코드

말 그대로 선로가 하나 뿐인 것을 말합니다. 국내의 대부분의 노선이 단선이며, 선로를 지나는 열차의 양이 적을 경우에 사용합니다.
여러 대의 열차를 운용하기 위해서는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반드시 대피 시설(교행 시설)을 마련해야 합니다.


2.2 복선 : 레일코드 또는 레일코드

선로를 2개 설치하여 방향별로 선로를 운용하는 형태로, 단선에 비해 효율이 매우 높은 것이 특징입니다.
쉽게 말하면 (단선 2개의 효율) ≤ (복선 1개의 효율)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지하철 노선은 복선이며, 운영 주체에 따라 좌측통행(코레일 등)이나 우측통행(그 외)을 합니다.


2.3 단선 병렬 : 레일코드

복선과 비슷해보이지만 쉽게 말하자면 단선 2개를 단순히 붙여놓은 형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두 선로는 같은 방향과 다른 방향의 열차를 모두 취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건넘선을 설치하여 단선으로 운용할 수도 있습니다.
단선 병렬은 단순히 단선 2개를 붙여만 놓은 '단선병설', 일반 복선처럼 방향별 운행을 하다가 필요에 따라 쌍방향 운행을 하는 '쌍단선'으로 나뉩니다.
경부고속선은 복선이 아니라 대표적인 단선 병렬이라고 하네요.


2.4 3선 : 레일코드 또는 레일코드

쉽게 설명하자면 (복선) + (단선)의 형태를 말합니다. 복선보다는 효율이 좋고 복복선보다는 낮습니다.
(위 그림에서) 파란색 선로를 통과선, 입환선, 또는 선로용량에 따라 가변선로로 활용하거나 두 개의 노선이 합류·분기할 때 병목현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구조입니다.


2.5 복복선

복복선은 복선과 복선을 붙인 것으로, 아래의 n복선의 표현을 따라 2복선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복선에 지나치게 지나다니는 열차가 많아서 더이상 하나의 복선만으로는 열차를 수용할 수 없을 경우나 단순히 2개의 복선 노선이 만나는 경우 이런 선로 구조를 갖게 됩니다.
한 노선에 복복선을 운용하면 복선 하나에는 완행을, 복선 하나에는 급행을 운용하는 등 열차 운행을 2배로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그만큼 공사비나 토지 비용 등이 많이 들고 수요가 많지 않은 곳에는 설치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2.5.1 선로별 복복선 : 레일코드

검은색 복선 노선과 파란색 복선 노선을 단순히 붙인 형태의 복복선입니다.
이 경우 검은색 노선과 파란색 노선 사이에서 환승을 하려면 계단을 오르내려야 하는 불편이 있습니다.
대신, 각 노선의 회차선을 만들기에는 방향별 복복선보다는 유리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회기역[1], 왕십리역[2] 등에서 볼 수 있습니다.


2.5.2 방향별 복복선 : 레일코드

각 방향의 열차가 한 쪽으로 몰려있는 형태의 복복선입니다.
1호선을 예로 들면 검은색이 완행, 파란색이 급행인데 완행과 급행 간의 환승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각 노선이 회차하는 데에는 선로별 복복선보다는 불리한 것이 단점입니다. 1호선 동인천역의 경우에는 급행선(파란색)에만 유치선을 두어 회차를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호선 경인선 구간의 동인천 ~ 개봉역, 1호선 경부선 구간 등에서 볼 수 있습니다.


2.6 n복선 : 레일코드

말 그대로 복선을 n개 붙인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1호선 서울역 ~ 구로역 구간이 선로별 3복선(레일코드)에 해당합니다.


3 실제 현실에서 선로와 승강장의 형태

일단, 승강장(레일코드)이 a개, 선로(레일코드)가 b개 있는 형태의 역사가 있다고 할 경우, 우리는 이를 a면 b선 (혹은 b선 a면)의 역사라고 부릅니다.

수도권 지하철 1호선의 역사를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지하 서울역(레일코드)은 1면 2선, 시청역(레일코드)은 2면 2선 등입니다.

3.1 기본 형태

3.1.1 단선 승강장

레일코드
1면 1선의 가장 기초적인 형태의 구조입니다. 선로 하나에 승강장 하나만을 사용하며 열차는 양 방향에서 들어옵니다.(6호선 응암루프는 일방통행이므로 예외)
단선에서 2대 이상의 열차를 운용하려면 교행 시설(eg.신호장, 역)이 있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열차가 서로 마주오다가 부딛히겠지요.
이용객이 적어서 열차 운행 횟수가 적은 곳은 주로 이런 승강장 형태를 갖고 있습니다.
eg. 소요산(1), 서울역(경의), 장암(7), 역촌 ~ 구산(6) 등

3.1.2 상대식 승강장

레일코드
2면 2선의 기본적인 형태의 구조입니다. 각 방향별로 승강장을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며, 방향을 잘못 탈 경우 계단을 통해 건너야하는 불편이 있지만
출퇴근시간에 관계없이 꽤 많은 승객을 수용할 수 있는 형태입니다.
eg. 시청 ~ 제기동(1) 등


3.1.3 섬식 승강장

레일코드
1면 2선의 기본적인 형태의 구조입니다. 출퇴근 시간대처럼 특정 시간대에만 승객이 몰리는 지역이거나,
도로 밑에 건설된 지하역인데 도로의 폭이 상대식 승강장을 만들기에는 너무 좁은 경우, 혹은 회차 선로가 필요할 경우 이런 승강장을 사용합니다.
eg. 서울역(1), 청량리(1) 등


3.1.4 두단식 승강장

레일코드
(상대식 승강장의 경우)
레일코드
(2면 3선 승강장의 경우)

이름[3]의 뜻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역 뒤로 선로가 더 이어지지 않고 선로가 끝나는 형태의 역을 말합니다.
외국에서는 종착역에서 흔히 나타나는 형태인데, 우리나라에는 1호선 인천역, 9호선 개화역 등을 제외하면 그다지 많은 형태는 아닙니다.
이런 형태의 승강장은 실제 운용시 오버런[4]의 위험을 안고 있습니다.
eg. 인천(1), 개화(9), 기흥(에버라인) 등


3.2 응용된 형태

3.2.1 쌍섬식 승강장

* 선로별 복복선
레일코드
* 방향별 복복선
레일코드
섬식 승강장 2개를 좌우로 붙인 형태입니다. 특히 방향별 복복선에 쌍섬식 승강장을 적용할 경우 이른바 '3초 환승'이 실현되기도 합니다. (eg. 금정역)
섬식 승강장을 가지는 노선의 역 2개가 붙으면 선로별 복복선의 형태가 되며, 이 경우 환승은 다소 힘듭니다. (eg. 회기, 왕십리역)
eg. 선로별: 회기(1/중앙), 왕십리(중앙/분당) 등 / 방향별: 동인천 ~ 개봉(1), 금정(1/4) 등


3.2.2 쌍상대식 승강장

* 선로별 복복선
레일코드
* 방향별 복복선
레일코드
상대식 승강장 2개를 좌우로 붙인 형태입니다.
경의선의 디지털미디어시티 역이 선로별 쌍상대식 구조를 갖는데, 서울역에서 오는 열차와 공덕역에서 오는 열차가 서로 다른 승강장에 정차하는 것과 같은 혼란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방향별 쌍상대식의 경우, 가운데에 있던 섬식 역의 양 옆에 선로를 깔고 상대식 승강장을 설치한 경우(eg. 화서역)인데, 이 경우 가운데 역이 버려지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eg. 선로별: 신길(1), 대방(1), 디지털미디어시티(경의) 등 / 방향별: 화서(1), 신도림(2) 등


3.2.3 2면 3선식 승강장

레일코드
쌍상대식은 중앙에 선로가 2선 있지만 2면 3선식 승강장은 1선만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주로 종착역이나 중간 종착역, 주박기지가 가까운 역이 이런 구조를 갖습니다.
예를 들어, 7호선 온수역에서 온수행 열차는 가운데 선로로 들어가 회차하고, 부평구청행 열차는 측면 선로로 계속 진행하는 방식입니다.
eg. 온수(7), 방화(5), 수락산(7), 상일동(5), 국제업무지구(인천1) 등

3.2.4 2면 4선 상대식 승강장

레일코드
상대식 승강장 사이에 복복선이 들어선 형태로, 주로 경부선 구간에서 볼 수 있는 구조입니다.
승강장과 인접하지 않은 내선(內線)은 주로 이 역을 통과하는 열차가 운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eg. 경부선 구간(1), 선유도(9), 샛강(9), 사평(9) 등



3.2.5 1상대 1섬식 승강장

레일코드
상대식과 섬식의 혼합형이라 볼 수 있는 형태입니다. 상대식 승강장에 선로 하나만 붙인 형태라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2면 3선식 승강장과 마찬가지로 외선(外線)을 본선으로 하고 가운데 선로는 회차, 주박 등의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외적으로 까치산역은 우측 복선이 5호선, 좌측 단선이 2호선 신정 지선이 이용하는 형태입니다.
eg. 수서(3), 까치산(5), 광명사거리(7), 신논현(9) 등



3.2.6 섬식+1 승강장

레일코드
(추가) (기존)
본래는 섬식 승강장이었으나 승객 수가 늘어 승강장이 혼잡해졌을 때, 선로를 옮기거나 승강장을 넓히기 힘들어 한쪽 선로에 승강장 하나를 덧붙인 형태입니다.
1호선 신도림역의 경우에도, 급행이 생기기 이전엔 섬식으로 운영했었지만 신도림역 이용객이 겉잡을 수 없이 늘어나자 안전상의 문제로 서울역 방면 선로 좌측에 승강장 하나를 더 만들어 이와 같은 형태의 승강장이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eg. 외대앞(1), 신도림(1, 완행 승강장만) 등

3.2.7 3면 2선식 승강장

레일코드
2면 3선식 승강장이 섬식과 비슷한 모습이라면 3면 2선식 승강장은 상대식과 비슷합니다.
보통 가운데 승강장은 출발 승강장으로 쓰고 양쪽 승강장은 도착 승강장으로 사용하여 출발/도착 승객을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eg. 기흥(에버라인) 등

3.3 그 외의 형태

3.3.1 광운대역

레일코드

3.3.2 신도림역

레일코드

3.3.3 노량진역

레일코드

3.3.4 구로역


구로역 배선도
(빨간색: 급행 / 녹색: 일반 열차)

  1. [1] 1호선 / 중앙선
  2. [2] 중앙선 / 분당선
  3. [3] 頭斷; 머리가 잘려나감
  4. [4] overrun; 정차해야할 위치보다 더 지나쳐서 정차하는 것


TELKwiki에 기여함은 TELKLAND의 이용 약관에 동의함을 뜻합니다.


↑TOP

신고하기 ×

신고 종류
작성자
내용

신고 사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