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맵] Telkworld v3 - #1. 1호선 중천선 소개

https://telk.kr/tb/free/398
2014년 말부터 새로 가상 맵을 제작하고 있는 중입니다.
제가 만드는 가상맵 중에 버전을 붙이기 시작한 것만 따지자면 벌써 세 번째 맵입니다.
이번 가상맵은 무려 4094×4094 크기의 맵에서 플레이하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노선 하나 만드는데도 엄청난 시간이 걸리더군요... ㄷㄷ

지금까지 만든 노선은 가장 주축이 될 중앙선과, 서울 지하철 1호선 그리고 서울 지하철 2호선입니다.

이중에서 먼저 서울 지하철 1호선을 구성하고 있는 두 개의 노선 중에서 중천선을 먼저 소개하고자 합니다.
서울 지하철 1호선이천 ~ 화진을 잇는 중천선과, 세안 ~ 옥초를 잇는 중안선으로 나뉩니다. (현실의 경부선, 경인선 개념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1. 서울 지하철 1호선(중천선) 전구간 노선도


펼치기 ▼
#2. 이천역


중천선은 이천역에서 시종착합니다.
일반 열차는 좌측 2개의 승강장에, 급행 열차는 우측 2개 승강장에 정차하고 있습니다.
뒤쪽에 유치선이 있지만 현재는 사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3. 이천 ~ 원광 구간 & 원광역


이천역과 원광역 사이에는 창은 차량사무소로 향하는 분기선과 삼각선이 있습니다.
창은 차량사무소로 진출입하는 열차를 위해 원광역은 2면 3선의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일반적인 완행/급행 열차는 좌측의 상대식 승강장을 쓰고, 입출고열차가 최우측 승강장을 사용합니다.



#4. 옹왕역


옹왕역은 제 가상맵에서 볼 수 있는 흔한 역의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완행 열차만 정차하는 역은 대부분 이런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5. 산경역


산경역은 산장여경 사이에 위치하는 역입니다.
두 도시 모두 규모가 있어서 급행 열차도 정차합니다.
급행 열차는 항상 내선의 승강장을 사용하고, 완행 열차는 항상 외선의 승강장을 사용합니다.


#6. 포항역



#7. 홍주역


홍주역은 완행 열차와 급행 열차의 승강장이 구분되어 있지 않은 역입니다.
홍주역에서 안내 방송을 잘 해주고 있을 거라고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8. 삼광역




#9. 고성역


고성에도 도시 규모가 커서 역시 급행 열차가 정차합니다.



#10. 증양역


증양역은 위에서 설명한 다른 역보다 먼저 건설되는 바람에 역의 모양이 다른 역과는 조금 다릅니다.
증앙역을 지나면 이제 드디어 서울권에 진입하게 됩니다.



#11. 동단 차량 사무소(증양 ~ 동단 구간)


중천선중안선은 동단역에서 합류합니다.
합류하기 전에 한쪽으로 동단 차량사무소가 보입니다.
동단 차량사무소는 지하철이 아니라 일반 열차용이지만 지하철도 드나들 수 있도록 설계하였습니다.
오른쪽 위에서 동단역 방향으로 합류하는 복선 선로가 바로 세안역에서 출발해오는 중안선입니다.



#12. 동단역


중천선은 노란색으로, 중안선은 초록색으로 표시해보았습니다.
동단역이 위치한 동단서울의 가장 가까운 위성도시 중에 하나로, 인구수가 3만명에 육박해 급행열차가 모두 정차하고 있습니다.
덕분에 역의 구조가 구로역 못지않게 복잡해졌습니다.
원래는 중천선중안선을 단순히 붙여놓기만 할 생각이었는데,
1호선의 서울 구간을 갑자기 복복선화하면서 역을 완전히 재설계했습니다. 머리 빠개지는 줄... ㅜㅜ



#13. 양산역


본래 양산역은 흔한 완행열차 전용 역의 모습을 하고 있었으나,
중안선에 이어서 중천선이 개통하면서 몰려드는 열차의 수를 감당할 수 없어서
서울 구간의 1호선 노선을 복선에서 복복선으로 확장하는 과정에서 이런 모양의 역이 되었습니다.
급행 열차는 내선으로 통과하고, 완행 열차가 외선의 승강장에 정차합니다.



#14. 서영역


서영역도 양산역과 마찬가지입니다.



#15. 서울역


서울역은 Telkworld v3의 수도입니다.
지하철 역사만 따져도 6면 10선의 거대한 규모를 자랑합니다. (일반 열차용 승강장/선로까지 합하면 총 21면 44선의 규모입니다.)
##0096ff 중앙선 과 같은 주축노선은 추후에 소개하기로 하고, 여기서는 지하철 노선만 주목하겠습니다.
서울역은 최초 설계 당시부터 3개의 노선이 지나다니도록 설계하였는데, 최초 건설 당시에는 1호선이 복복선이 아니라 복선으로 건설되었던 것을, 선로용량 부족으로 인해 복복선으로 확장하는데 상당히 애를 먹었던 곳입니다.
이유도 그럴만한 것이 서울역에는 ##000096 서울 지하철 1호선 완행·급행과 ##009600 서울 지하철 2호선 완행·급행이 현실의 금정역처럼 서로 평면환승이 가능하도록 복잡하게 얽혀있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000096 서울 지하철 1호선 은 완행과 급행을 합쳐서 복복선이고 ##009600 서울 지하철 2호선 은 복선 하나에 완행과 급행을 같이 운용하고 있어서 이를 입체교차하는데 상당히 공을 들였습니다.
##ff9600 서울 지하철 3호선 은 현재 공사중으로 운영하고 있지 않습니다.


#16. 매곡역


매곡역 진입 직전에 1호선 복복선 노선을 가로질러서 왼쪽 아래로 내려가는 노선이 ##ff9600 서울 지하철 3호선 이 지나갈 부분입니다.



#17. 동강철교


매곡역을 지나면 동강을 만납니다.
동강은 강폭이 72칸이나 되는 큰 강으로, 하나의 다리로 지나가기 힘들어서 동강철교는 여러 부분의 다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지하철이 다니는 철교는 동강K철교 ~ 동강N철교까지입니다. 전자껍질을 달리는 지하철



#18. 동강나루역


동강나루는 예로부터 나루터로 이용되던 곳이라는 설정입니다.
역 상단에 아직 복선 시절의 분기선 흔적이 남아있네요.



#19. 창주역


창주서울의 위성도시 중의 하나로, 현실의 여의도와 비슷한 위치입니다.
(창주는 동강과 동강의 샛강이 이루는 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본래는 2면 2선의 상대식 역이었는데 복복선으로 확장하면서 3면 4선의 쌍상대식 역으로 바뀌었습니다.



#20. 동막역


동막역도 흔한 완행 전용 역입니다. 다만 커브가 약간 있지요.



#21. 동막 ~ 담울 구간


다음역인 담울역에서 이제 중천선중안선을 '다시' 분리해야 합니다.
동단역에서처럼 복잡하게 만들 수가 없어서 동막역과 담울역 사이에서
외선: 완행, 내선: 급행의 방향별 복복선을 선로별 복복선으로 변경하기 위해 입체교차합니다. (방향별 복복선과 선로별 복복선이란?)



#22. 담울역


선로별 복복선으로 바꾸긴 했지만 그래도 담울역은 4면 6선의 규모가 큰 역입니다.
게다가 일반 열차도 담울역에 정차하고 있습니다. (어차피 일반열차는 지하철과 섞이지 않아서...)
여기서도 중천선을 노란색으로, 중안선을 초록색으로 표시해봤습니다.

간단하게 설명드리자면 현실의 강동역 구조를 2개 붙여놓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담울역에서 진출하는 열차는 중천선 열차든 중안선 열차든 하나의 승강장을 공유하지만,
중안선 괴흥역에서 오는 열차와 중천선 동담울역에서 오는 열차는 병목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승강장에 정차합니다. (완행, 급행 공통)



#23. 담울 ~ 동담울 구간


우리는 이제 노란색 화살표를 따라 중천선의 다음 역인 동담울역으로 가야 합니다.
##000096 서울 지하철 1호선 의 서울 구간 내의 복복선은 담울역에서 끝이 납니다.
1호선의 서울 시내 구간을 복복선으로 급하게 확장한 이유가 중천선중안선의 병목현상때문이었으니, 중천선중안선이 갈라지는 담울역부터는 복복선을 유지할 필요가 없죠.
그래서 초록색의 중안선은 담울역을 나서자마자 완행 선로와 급행선로가 합쳐서 1개의 복선이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우리가 오늘 볼 노란색의 중천선은 복복선 확장 당시 담울역도 같이 개선하면서 복복선을 복선으로 합치기가 너무 무리일 것 같아서 그대로 복복선을 유지합니다.



#24. 동담울역


동담울역은 원래 가역명이었으나 결국 정식 역명으로 굳어져버렸습니다.
이 역은 특이하게 급행 열차가 외선으로 통과합니다. 이는 앞에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건설의 어려움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후에 바로 복선으로 합쳐집니다.



#25. 상평역


상평역도 내선에 완행 열차가 정차하고 급행 열차는 외선으로 통과합니다.
가장 우측에 있는 복선 하나는 추후 제2의 간선 노선인 ##960096 중곡선 이 될 것입니다.



#26. 화진역


드디어 ##000096 서울 지하철 1호선 중천선의 마지막 역인 화진역에 도착했습니다.
화진역 이후로는 선로 개발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어서 ##960096 중곡선 도 함께 끊겨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좌측 2개 승강장은 완행 열차가, 우측 2개 승강장은 급행 열차가 이용하고 있으며
모든 열차는 이 역에서 되돌림 운행을 합니다.


접기 ▲


{{#align center
To be continued
}}

이모지를 이용해서 글에 반응해보세요!

댓글



꼬리표를 선택하세요


↑TOP

신고하기 ×

신고 종류
작성자
내용

신고 사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