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선과 복선이 만나는 T자형의 단순한 평면 교차입니다. 신호기는 가능하면 단방향 경로 신호기만을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화살표 방향으로 통행할 수 있지만 빨간색 동그라미 표시가 된 부분에서 평면 교차가 발생하여 열차의 진행에 많은 지장을 줍니다.
이제 복선 규모쯤 되면 평면교차로는 열차의 통행량을 감당할 수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입체교차를 만들어야 합니다.
복선과 복선이 만나는 T자형과 十자형의 입체 교차입니다. 특히 十자형은 마치 네잎클로버 모양같이 생겼다고 해서 클로버형 교차로라는 별칭도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화살표 방향으로 통행할 수 있고, 신호기는 어떤 종류를 써도 크게 상관없지만 되도록이면 단방향 경로 신호기를 사용하세요.
보통 OpenTTD 고수냐 아니냐를 가르는 기준 중에 하나가 바로 복복선 이상의 선로끼리의 입체 교차를 만들 수 있는지입니다.
복복선x복선 입체 교차로 (T자형)
복복선에서 복선이 T자형으로 분기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입체교차로입니다. 열차는 하얀색 화살표 방향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복복선x복선 입체 교차로 (十자형)
복복선과 복복선이 十자로 만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입체교차로입니다. 위의 클로버형 교차로의 복복선 확장 버전입니다.
다소 복잡한 관계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외선은 흰색 화살표로, 내선은 노란색 화살표로 표시해두었습니다.
단, A선의 외선과 B선의 외선, A선의 내선과 B선의 내선 사이만 넘나들 수 있고 A선의 내선과 B선의 외선 사이를 넘나드는 건 불가능한 구조이니 참고해주세요.
이미지의 크기가 다소 크니 모바일 환경에서는 열람에 주의해주세요.
3복선x3복선 입체 교차로 (十자형)
3복선x3복선 교차로도 만들어둔 게 있으니 참고해보세요. 방향별 복선(↓↓↓↑↑↑) 기준이고, 가장 바깥쪽 복선은 빨간색 / 가운데 복선은 노란색 / 가장 안쪽 복선은 하얀색 화살표로 표시했습니다.
신호기는 설치하지 않았고 곡선 반경을 신경쓰지 않은 다소 효율이 나쁜 교차로입니다만 참고삼아 올려둡니다.
TELKwiki에 기여함은 TELKLAND의 이용 약관에 동의함을 뜻합니다.
현재 TELKwiki는 시범 테스트 중이므로, 기능이 변경되거나 문서가 수정 & 삭제될 수 있으며, 기여 내역이 초기화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