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화물분배
화물 분배 설정은 환경 → 화물 분배 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A역 - B역 - C역 - ... - F역
의 구조를 가진 노선에서 모든 역에 정차하는 승객 열차를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1.1 모든 버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설정
수동 설정은 OpenTTD의 기본 설정이고, 화물 분배를 끈 것과 같습니다.
A역에서 탑승한 승객은 다음 역인 B역에서 무조건 하차하고 B역에서 출발한 승객이 탑승하게 됩니다.
대칭 설정은 A역에서 X역(X=A, B, …, F)으로 가려는 승객의 수와 거꾸로 X역에서 A역으로 가려는 승객의 수가 비슷하게 설정됩니다.
예를 들어 A역을 클릭했을 때 X역으로 가려고 하는 승객의 수가 100명 있다고 가정하면
X역을 클릭했을 때에도 A역으로 가려고 하는 승객의 수가 100명 안팎으로 설정됩니다.
단, 도시 규모에 따라 쌓이는 승객의 양은 다를 수 있습니다.
비대칭 설정은 A역에서 X역(X=A, B, …, F)으로 가려는 승객의 수와 거꾸로 X역에서 A역으로 가려는 승객의 수가 비슷하지 않게 설정됩니다.
대칭 설정과 다르게 A역을 클릭했을 때 X역으로 가려고 하는 승객의 수가 100명이라고 하더라도
X역을 클릭했을 때 A역으로 가려고 하는 승객의 수는 100명이 아닐 수 있습니다. 0명일 수도 있고, 100명일 수도 있고, 300명일 수도 있습니다.
1.2 JGRPP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설정 JGRPP
1.2.1 비대칭 (동일 분포) JGRPP
비대칭 (동일 분포) 또는 비대칭 (균일 분포) 설정은 A역에서 X역(X=A, B, …, F)으로 가려는 승객의 양이 대체적으로 동일하게 맞춰지는 설정입니다.
즉, A역에 1,000명의 승객이 쌓였다면 B, C역 등으로 가려는 승객이 500명씩 동일하게 나눠서 분배됩니다.
거리가 너무 먼 경우 D, E, F역 등으로 가려는 승객은 없을 수도 있는 것으로 추측됩니다.[A]
1.2.2 비대칭 (최근접) JGRPP
비대칭 (최근접) 설정은 A역에서 가장 가까운[1] 역에 먼저 승객를 분배하고, 그 수요가 가득차면 그 다음으로 가까운 역에 수요를 분배하는 식의 비대칭 설정입니다.
즉, A역에서 가장 가까운 B역으로 가려는 승객을 먼저 분배한 뒤, 그 다음에는 C역, D역, … 순으로 승객의 목적지를 설정합니다.
이 설정은 환경 → 화물 분배 → 다음으로 짧은 경로를 사용하기 위한 경로의 포화도 설정 값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측됩니다.[A]
A역에 1,000명의 승객이 쌓였다면
B역에 먼저 승객의 목적지를 설정한 뒤, 경로 포화도 설정에 다다르면 다음 C역으로, 또 경로 포화도 설정에 다다르면 D역으로, … 의 방식으로 승객의 목적지를 설정하는 것으로 추측됩니다.[A]
TELKwiki에 기여함은 TELKLAND의 이용 약관에 동의함을 뜻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