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TTD 매뉴얼/화물 분배



OpenTTD 로고 OpenTTD 매뉴얼
시작하기 전에 시작하기 기반시설 & 튜토리얼 철도 기타 일반 철도 상식
OpenTTD 소개
설치하는 법
업데이트 하는 법
JGR 패치 팩
인터페이스
기후 소개
산업시설 연관 관계
멀티플레이
도시
지형 편집
NewGRF (모드)
도로 & 버스/트럭 만들기
전차
철도
선박
항공
신호기
신호기 (고급)
단선 철도
복선 철도
역 건설 예제
교차로 건설 예제
화물 분배
시간표와 배차 일정
단축키
높이맵
재앙
콘솔 사용법
게임 물리
치트
기본 차량 DB
경쟁사·인공지능
선로와 승강장의 구조
선로 용량



1 화물분배

화물 분배 설정은 환경화물 분배 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A역 - B역 - C역 - ... - F역 의 구조를 가진 노선에서 모든 역에 정차하는 승객 열차를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1.1 모든 버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설정

1.1.1 수동

수동 설정은 OpenTTD의 기본 설정이고, 화물 분배를 끈 것과 같습니다.
A역에서 탑승한 승객은 다음 역인 B역에서 무조건 하차하고 B역에서 출발한 승객이 탑승하게 됩니다.


1.1.2 대칭

대칭 설정은 A역에서 X역(X=A, B, …, F)으로 가려는 승객의 수와 거꾸로 X역에서 A역으로 가려는 승객의 수가 비슷하게 설정됩니다.

예를 들어 A역을 클릭했을 때 X역으로 가려고 하는 승객의 수가 100명 있다고 가정하면
X역을 클릭했을 때에도 A역으로 가려고 하는 승객의 수가 100명 안팎으로 설정됩니다.
단, 도시 규모에 따라 쌓이는 승객의 양은 다를 수 있습니다.


1.1.3 비대칭

비대칭 설정은 A역에서 X역(X=A, B, …, F)으로 가려는 승객의 수와 거꾸로 X역에서 A역으로 가려는 승객의 수가 비슷하지 않게 설정됩니다.

대칭 설정과 다르게 A역을 클릭했을 때 X역으로 가려고 하는 승객의 수가 100명이라고 하더라도
X역을 클릭했을 때 A역으로 가려고 하는 승객의 수는 100명이 아닐 수 있습니다. 0명일 수도 있고, 100명일 수도 있고, 300명일 수도 있습니다.




1.2 JGRPP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설정 JGRPP

JGRPP 이 문서 또는 문단은 JGR의 패치 팩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해 설명합니다.
정식 버전(eg. 13.1)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기능입니다.
JGR의 패치 팩은 TELKLAND > 오픈트타 > OpenTTD 다운로드 메뉴, 또는 JGRPP의 Github 릴리즈 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1.2.1 비대칭 (동일 분포) JGRPP

비대칭 (동일 분포) 또는 비대칭 (균일 분포) 설정은 A역에서 X역(X=A, B, …, F)으로 가려는 승객의 양이 대체적으로 동일하게 맞춰지는 설정입니다.

즉, A역에 1,000명의 승객이 쌓였다면 B, C역 등으로 가려는 승객이 500명씩 동일하게 나눠서 분배됩니다.
거리가 너무 먼 경우 D, E, F역 등으로 가려는 승객은 없을 수도 있는 것으로 추측됩니다.[A]


1.2.2 비대칭 (최근접) JGRPP

비대칭 (최근접) 설정은 A역에서 가장 가까운[1] 역에 먼저 승객를 분배하고, 그 수요가 가득차면 그 다음으로 가까운 역에 수요를 분배하는 식의 비대칭 설정입니다.

즉, A역에서 가장 가까운 B역으로 가려는 승객을 먼저 분배한 뒤, 그 다음에는 C역, D역, … 순으로 승객의 목적지를 설정합니다.
이 설정은 환경화물 분배 → 다음으로 짧은 경로를 사용하기 위한 경로의 포화도 설정 값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측됩니다.[A]

A역에 1,000명의 승객이 쌓였다면
B역에 먼저 승객의 목적지를 설정한 뒤, 경로 포화도 설정에 다다르면 다음 C역으로, 또 경로 포화도 설정에 다다르면 D역으로, … 의 방식으로 승객의 목적지를 설정하는 것으로 추측됩니다.[A]

  1. [A] A B C 근거가 없고 실험을 해본 것이 아니므로 '추측된다'고 표현하였습니다.
  2. [1] 거리는 최대 + 택시 거리로 계산합니다. (x1, y1)과 (x2, y2) 위치를 기준으로 \(dx = |x_1 - x_2|\), \(dy = |y_1 - y_2|\)을 계산해서 \(dx\)가 크면 \(2 dx + dy\)를, \(dy\)가 크면 \(2 dy + dx\)로 계산하는 거리입니다.


TELKwiki에 기여함은 TELKLAND의 이용 약관에 동의함을 뜻합니다.


↑TOP

신고하기 ×

신고 종류
작성자
내용

신고 사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