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GR의 패치 팩(JGR's Patch Pack, 또는 줄여서 JGRPP)는 영국의 Jonathan G. Rennison이라는 유저가 OpenTTD의 공개된 소스를 가져다가 다른 유저가 추가했던 기능 또는 고유 기능 등을 추가하여 만들어낸 패치 팩 중 하나입니다.
이런 비슷한 패치 팩으로는 Chillcore의 패치 팩, Hardgame 패치 팩, Spring 패치 팩 등이 있었으나 모두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고 JGRPP만 살아남았습니다.
기존 OpenTTD가 갖고 있던 불편함을 일부 해소하고, 기반 시설 공유나 열차의 현실적 감속, 다리/터널 위 신호기 등과 같은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면서 이제는 많은 골수 유저들이 정식 버전보다는 JGRPP를 찾고 있습니다.
아래 정식 버전과 JGRPP의 주요 차이점 문단에서 볼 수 있듯이, 기존 OpenTTD에서는 볼 수 없는 수 많은 편의 기능과 신 기능이 있습니다.
특히 기반 시설 공유 기능 덕분에 멀티플레이 게임에서 현실에서나 볼 법한 직결 운행이나 자회사 운영, 건설/운영사 분리 등의 플레이도 가능합니다.
JGRPP를 모를 때는 정식 버전만으로 충분하지만, 한 번 JGRPP을 쓴다면 정식 버전으로 돌아가기는 힘들어질 정도로 편의성과 기능성이 우수합니다.
Chillcore의 패치 팩 등과 같은 다른 패치 팩 등은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만 개발되었거나[1] 개발이 중단[2]되었고, 또 사용자 패치 팩이다보니 안정적이지 않아서 각종 버그나 충돌이 많이 나타나 플레이에 지장을 주는 정도였던 데 반해, JGRPP은 JGR 본인이 현재[3]까지 활발히 활동 중이며 각종 버그에 대한 수정도 비교적 잘 이루어지고 있어 다른 패치팩에 비해 상당히 안정적이라는 것이 장점입니다.
단, JGRPP 역시 패치 팩이다보니 게임 충돌 현상은 드물게 일어나긴 하지만 플레이에 지장을 줄 정도로 크게 우려할 수준은 아닙니다.
또 시간표 및 자동 배차 기능을 지원하여 이제 원한다면 열차의 다이어그램도 짤 수 있어서 사실상 완벽한 완급 결합이나 몇 개 이상의 계통을 복선에서만 굴리는 등의 변태(?)적인 플레이도 가능해졌습니다.
물론, 이 경우 머리가 깨지는 노가다는 감수하셔야 합니다!
OpenTTD는 2022년 4월 1일, Steam에 공식적으로 공개되었습니다.
하지만 JGRPP는 Steam에서 간단하게 설치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Steam에서 정식 버전의 OpenTTD를 설치한 다음, 설치된 폴더에 JGRPP를 덮어씌우면 Steam에서도 JGRPP를 이용할 수는 있습니다.
이 경우 OpenTTD 정식 버전이 업데이트될 때마다 JGRPP 덮어쓰기를 반복해야 합니다.